하남경찰관, 주민생계조합 비리 의혹제기와 폭로...“부당한 영향력을 행사”

하남교산지구 조합비 1억 5천만원 사용 의혹과 경찰 공직자의 역할에 대한 논란
기사입력 2024.11.24 17:59 조회수 11,078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KakaoTalk_20241124_182946169-수정.jpg

<하남 생계조합 전경. (사진=동부권취재본부)>

 

하남시 교산지구에서 발생한 주민생계조합과 하남경찰서 소속 A경찰관 간의 내부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조합 내 비리 의혹이 제기돼 지역사회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A경찰관에 따르면 B대표는 조합 운영 자금 중 약 1억 5천만 원을 집회 비용으로 사용해 GH 공무원을 배제하려는 등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이다.

 

A경찰관은 “이외에도 B대표가 대의원 대표 회사에서 3호선 1번 출구 앞 3천 평을 기준으로, 대토를 받게되면 원가 조성비는 1,500만 원이었지만 최종적으로 4천만 원까지 상승한다”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차액은 평당 3천만 원으로, 전체 금액은 900억 원에 달한다. 또한 커미션을 30%로 계산하면 약 300억 원이 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심지어 B대표는 자신에게 고수익을 보장한다”며 “유혹해 가입하게 하고, 추가 투자를 유도했다. 그러나 약속된 수익은커녕 기본적인 환급조차 이루어지지 않아 금전적 손실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주민생계조합의 A대표 대의원은 “있지도 않는 사실을 마치 사실인 양 언론 및 주위 사람들에게 허위사실을 의혹 제기와 함께 폭로하고 다니는 사람과 수년을 함께 했다는 게 수치스럽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실 여부를 파악도 하지 않은 채 이를 받아쓰는 언론사는 언론의 책무를 다해줬으면 좋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을 하면서 단 1원도 욕심을 부리거나 헛되이 쓴 사실이 없다”라며, “A경찰은 주민생계조합에 조합원도 대회원도 아닌 실질적으로 자격 없는 사람이기에 실제 내부 사정을 알 수 없다. 그럼에는 마치 전체를 다 알고 있는 것인 양 허위사실을 폭로한다는 게 경찰 공직자로서 법에 범주를 넘어선 것에 울분을 느낀다”라고 토로했다.

 

소식을 접한 인근 시군에서 경찰공무원 퇴직한 K씨는 현재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A경찰관이 개입된 사건의 본질과 정확한 범위를 철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K씨는“만약 A경찰관의 개입이 직무와 무관하거나 부당한 영향력 행사로 판명될 경우, 그것은 직권남용 및 업무방해 협의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라며 엄중한 법적 처벌을 촉구했다.


이어 “주민생계조합의 A대표 대의원이 기사 내용대로 몇천만 원에서 몇백억 수익 창출을 위한 편·불법 협의가 있어 보인다면, 직접 수사를 하거나 다른 수사관에게 수사를 의뢰하면 될 것”이라며, “이를 언론사 기자에게 폭로하는 게 이해할 수 없고 뭔가 석연치 않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동부권취재본부 기자 edit@fp-news.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www.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13
  •  
  • 판단
    • 경찰이 수사를 해야지 부정 행위를 언론에 폭로한다는게 이해 안됨 그것도 인지도도 없는 기자에게 제보형식으로 폭로를 한다는것은 개가 웃을일이다.

      이 기사 내용이 사실이든 아니든 시법기관의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기자와도 먼가 커렉션이 있지 않나 싶다 기자도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  
  • 지일님의 댓글지일
    • 위에님이 맞는 말과 틀린말을 말씀하셔서 댓답니다.
      위에 님이 말씀하신것 중 부정 행위를 언론에 폭로하는게 이해가 안된다면 86년 보도지침 폭로 사건도 그렇게 했으면 안됬겠네요?

      87년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도 경찰 수사에서 마무히 지었어야 했고요. 언론이라는 역할을 뭘로 생각하시는지 내가 이해 안되네요.

      그반면 기사내용이 사실이든 아니든 명백히 수사해야될 사항이라고 하신것은 매우 공감함.

      끝으로 기자내용은 공감이 되지않네요... 갑자기 커미션?이라니요.. 암만 생각해도 기사 내용에 나오시는 분 관게자신 것 같아요....
  •  
  • 하나미님의 댓글하나미
    • 님말 들어보니 기사에 나오는 인물들 관계자인듯 ㅎㄷㄷㄷㄷ
  •  
  • ㅋㅋㅋㅋ님의 댓글ㅋㅋㅋㅋ
    • 맞네 ㅋㅋㅋㅋㅋㅋㅋㅋ 갑자기 기자를 왜조사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 와...님의 댓글와...
    • 와... 무섭다... 선동하려고 하는 건가...
  •  
  • 원석님의 댓글원석
    • 한쪽  편든것도 아닌데....왜 조사함? 여기서 어그로 끄는 건가?
  •  
  • 이분 그때 그분인가?님의 댓글이분 그때 그분인가?
    • 저번에도 이런 언론사라고 무시하는데가 있었는데 여기 구독자로서 진짜 빡침. 내일 여기 언론사에 전화해서 고소하라고 할거임. 작은 언론사라고 무시하는데, 그럼 오질 말던지. 와서 분탕치고 가면 재밌나?
  •  
  • 미사주민님의 댓글미사주민
    • 님들 진정하셈. 본질은 조합의 비리와 저 경찰관이 왜 개입했냐같음. 차후 조사가 마무리 되면 알게 되겠죠.
  •  
  • 구분 맞는 듯님의 댓글구분 맞는 듯
    • 맞는 거 같아여. 그 귀족분 ㅎㄷㄷㄷ
  •  
  • 1123님의 댓글1123
    • 아니 양측을 다 고발하는 기사에 기자를 고발하자는건 무슨 결론임????
      그럼 기자가 고발 받은거 받고도 가만히 있으라는 말이냐?????
      너를 수사하면 뭐라도 나올듯?
  •  
  • 지나가는 1인
    • 기사랑 댓글 잘보고감
  •  
  • 이태진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 가진게 망치뿐님의 댓글가진게 망치뿐
    • 인지도 없는데 왜 왔지? 100타 관계자인 듯.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