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의료인프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기 동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병원 설립을 본격 추진한다.
10일, 도는 경기도청에서 ‘경기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사업 방향과 조사 범위, 향후 절차 등을 공유했다.
경기도는 현재 남양주와 양주를 각각 300병상 이상 규모의 공공병원 후보지로 선정하고, 혁신형 공공병원 설립을 추진 중이다. 이날 회의는 후보지 선정 이후 양 시군과 함께한 첫 공식 회의로, 사업 추진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이번 용역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수행하며, 남양주시 호평동 백봉지구와 양주시 옥정신도시 인근 부지를 중심으로 타당성 검토와 민간투자 방식(BTL)의 적정성 여부 등을 조사한다. 용역 기간은 약 11개월로, 2026년 2월까지 진행된다.
도는 용역이 완료되는 대로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추진하고, 2030년 착공을 목표로 병원 건립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해당 공공병원은 감염병 대응, 응급·재활의료, 의료·돌봄 통합서비스 기능을 갖춘 ‘혁신형 공공병원’ 모델로 조성된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경기 동북부 혁신형 공공병원은 단순 진료를 넘어, 감염병 대응과 돌봄 기능을 아우르는 통합형 건강 인프라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공공의료 사각지대 해소와 도민 건강권 보장에 기여하는 중대한 첫걸음을 남양주와 양주와 함께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병길‧정경자‧박재용 의원을 비롯해 남양주시·양주시 관계자, 도 공공의료 정책 담당자, 도의료원 관계자, 보건의료계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위로